-
청년도약계좌 출시 은행별 금리와 우대조건 비교생활정보 2023. 6. 12. 18:57
'청년도약계좌'가 6월 15일 정식으로 출시됩니다. 출시에 앞서 청년도약계좌의 지원금액, 가입조건, 은행별 금리와 우대금리 조건, 가입신청일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목차
1.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지원금액
2.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와 우대조건
3. 마무리
은행별 금리와 우대금리 비교해 보고 5천만 원 목돈 만들기
청년들이 5년간 매월 70만원씩 납입하여 최대 5천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청년도약계좌는 은행의 기본리와 우대금리를 합쳐 6%대의 이율이 되어야 만기 시 5,000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.
청년도약계좌
1.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지원금액
청년도약계좌는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일정비율의 정부기여금을 지급받아 5년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하며 만기 시 최대 5천만 원의 목돈 마련 및 이자소득 등에 대해서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.
◆ 가입조건
- 만19~34세 청년(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)은 연령게산시 미산입
- 개인소득의 경우 직전과세기간의 총급여가 7500만 원 이하여야 가입가능
-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
▼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 ▼
중위소득 확인 tbu/app/twat/twatb/twatbz/TWAT53013E
www.bokjiro.go.kr
◆ 지원금액
- 3년간 고정금리, 향후 2년간 변동금리 적용
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한도 - 6000만원 이상 7500만 원 이하는 정부기여금 없이 은행 이자와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음
- 예) 직전년도 총 급여 4000만 원인 청년이 70만 원을 납부하면 기여금은 60만 원 한도의 3.7%가 적용되어 매달 2만 2000원씩 받을 수 있음.
▼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중복가입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▼
2023.05.22 - [생활정보] - 청년도약계좌 가입하기(2023.6월 중 출시 예정)
2.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와 우대조건
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11개 은행의 은행별 금리와 우대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.
◆ 은행별 금리
◆ 우대조건
우대금리조건 ◆ 가입신청일
- 출시 후 첫 5영업일 간 5부제 운영방식
- 6월 15일 오전 9시부터
- 농협·신한·우리·하나·기업·국민·부산·광주·전북·경남·대구은행 등 11개 취급기관에서 각 은행별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 접수( 나머지 1개 취급기관인 SC제일은행의 경우 내년 1월부터 접수를 받을 예정)
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운영방식 ◆ 중도해지
- 중도해지시 정부기여금은 지급되지 않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도 받을 수 없음.
- 중도해지 요건
가입자의 사망 해외이주, 가입자의 퇴직, 사업장의 폐업, 천재지변,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변, 생애최조 주택구입의 경우 특별중도해지자로 분류되어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음.
- 중도해지 이후 재가입
재가입시 지급되는 정부기여금은 중도해지 전 가입기간에 따라 차감.
예) 1년간 가입 후 중도해지하고 재가입하면 정부기여금은 4년만 지급
◆ 중도해지를 막기 위해 적금담보대출 운영
- 급전이 필요한 청년들을 위해 청년도약계좌 해지 없이 적금을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 있음.
- 햇살론 유스 우대금리 적용
3. 마무리
청년도약계좌에 납입·유지하는 청년에게 신용평가 가점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. 시중 은행들의 적금 금리보다 높은 금리와 만기 시 비과세 혜택은 청년도약계좌의 플러스 요인입니다. 은행별 금리와 우대조건을 확인하시고 청년도약계좌 신청해 보세요.
2023.05.22 - [생활정보] - 청년도약계좌 가입하기(2023.6월 15일 출시)
청년도약계좌 가입하기(2023.6월 15일 출시)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2023년 6월 중 출시 예정입니다. 청년도약 계좌 가입대상, 정부기여금 비율, 청년내일채움공제,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여
dazzling753.tistory.com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세사기 피해 예방법, 전세계약 시 주의할 점 (0) 2023.06.14 전세사기피해 접수방법 특별지원신청 절차 (0) 2023.06.12 교육급여 바우처 지원대상 지원금액 신청방법 (0) 2023.06.11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만기 중도해지 총정리 (0) 2023.06.10 문화누리카드 발급대상 및 온라인 사용처 총정리 (0) 2023.06.09